[컴퓨터 기초] 그래픽카드 (VGA) 란?
참고로 이 글은 과거에 써둔 글을 옮겨적는 것임을 알린다.
1. 그래픽 카드란?
컴퓨터에서 처리되어진 것을 그래픽으로 화면에서 보여주는 연산장치 정도의 개념이다.
그래픽카드는 VGA (Video Graphics Array) 라고도 부릅니다.
2. 구분
그래픽 카드가 위치하고 있는 곳에 따라서 크게
내장 그래픽 vs 외장 그래픽
2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 내장형 그래픽
: CPU에 내장되어 있는 그래픽
CPU에 따라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우리가 가장 많이 쓰는 intel CPU의 대부분은 있다.
- 외장형 그래픽
우리가 흔히 그래픽카드를 산다고 하면 바로 이 외장형 그래픽카드를 말한다.
추가로 설치해 성능을 보완하는 것도 가능하다.
nVIDIA의 '지포스'와 AMD의 '라데온'이 가장 유명한 그래픽카드
3. 그래픽카드 (VGA) 구성
(1)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컴퓨터의 전체적인 계산을 CPU가 하듯 그래픽과 관련한 처리는 GPU가 진행한다.
그래픽카드(VGA)의 성능에서 GPU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다보니 GPU 를 "그래픽 코어"라고 부른다.

당연히 GPU가 좋을 수록 그래픽카드(VGA)의 가치와 가격도 올라간다.
그러면 어떤 GPU가 좋은 GPU인가?
GPU는 모니터로 보낼 영상 신호를 생성해서 보내는 프로세서이다.
이 과정에서 여러 개의 stream processor (GPU 연산 장치 단위)가 작동을 하는데 이 stream processor 가 많을수록 더 질 좋은 그래픽을 부드럽게 연산할 수 있다.
간혹, 그래픽카드와 GPU를 같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틀린 말이고, GPU는 그래픽카드의 구성요소이다.
* GPU clock (클럭)
: GPU (그래픽 코어) 의 작동 속도
물론 클럭이 빠르면 좋긴 하지만 제품의 세대 별로 1클럭 당 처리능력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
물론 같은 세대 내에서 비교 정도는 의미있습니다.
* GPU 부스트
: GPU에 주어지는 부하를 모니터링하여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클럭의 속도를 높여주는 것
(2) VRAM (video memory)
video memory (비디오 메모리) 라고도 부르는 VRAM
CPU와 RAM 의 관계와 GPU와 VRAM 의 관계가 거의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PC에 RAM이 있는 것처럼 그래픽카드(VGA)에는 memory 가 존재
RAM과 마찬가지로 임시 저장 메모리의 역할을 합니다.

당연히 높을수록 좋습니다.
* 메모리 클럭
말 그대로 RAM의 역할처럼 임시데이터를 빨리빨리 GPU로 보내주는 속도를 의미
* 메모리 대폭역
= 메모리 인터페이스 X 메모리 클럭
임시데이터를 실어나를 수 있는 전체적인 능력을 나타내는 좌표
(3) 외부 출력 포트 (모니터 출력부) :
모니터와 그래픽카드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DP포트나 HDMI포트가 일반적
(4) 쿨러 (cooler) :
CPU 의 냉각 장치 역할과 같음
조그만 선풍기 프로펠러 날개같은 것이 있는데 cooler라는 말 그대로 열을 식혀준다.
개수는 한 개도 있고 여러개도 있습니다.
(5) 그 외
메인보드 장착 슬롯 등
4. 그래픽 카드 관련 주요 회사
그래픽카드와 관련한
가장 유명한 2개의 회사가 있습니다.
바로 nVIDIA(앤비디아), AMD(에이엠디) 입니다.


nVIDIA 은 GeForce (지포스) 라는 이름의 그래픽카드를 생산하고 있고
AMD 은 Radeon (라데온) 이라는 이름의 그래픽 카드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1) nVIDIA 의 GeForce
먼저, GeForce (지포스) 를 보겠습니다.
nVIDIA 에서 만드는 그래픽카드의 이름을 GeForce 라고 합니다.
GeForce 시리즈는 등급에 따라서
G (entry급), GT (보급형),
GTS (mainstream급), GTX (high-end급)
의 4단계로 나뉩니다.
요즘은 RX 시리즈도 나옵니다!!

그리고 이 뒤에는 숫자가 붙게 되는데 이 숫자로 세대와 성능을 보여줍니다.
예를들어서 GTX1080 이라고 하면 10 세대 80 짜리 성능이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참고로 뒤에 GTX1080Ti라고 Ti 가 붙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85 정도 성능이라고 보면 됩니다.
(최소 GTX1060은 넘어줘야 고사양 게임 돌리기 가능하다고 하는데 게임을 잘 안 해서 잘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분은 댓글남겨주세요.)
(2) AMD 의 Radeon
AMD에서 만드는 그래픽카드 모델 이름이 Radeon (라데온) 입니다.
R3 R5 R9 RX시리즈 등이 있습니다.
뒤에 백단위 숫자가 붙는데 맨 앞은 세대, 뒤 두자리는 성능을 의미 GTX1080 과 경쟁하는 RX VEGA 64 가 있는데 RX는 로마자10 의 X로 R의 10세대라고 보면 됩니다.
사실 VEGA는 원래 없었던 것이고 RX로 넘어오면서 VEGA 64라고 뜬금없이 붙이기 시작합니다 ㅋㅋㅋ

5. 그 외의 용어들
(1) 쿠다코어/스트림코어 :
nVIDIA는 쿠다코어
AMD는 스트림코어
라고 합니다.
결국, 둘은 같은 말입니다.
고사양 3D게임, 얼리얼엔진 같은 고사양의 그래픽작업을 위해서는 이 성능이 너무나 중요합니다.
3D 계산과 관련된 일 처리를 전문적으로 하는 코어라고 보면 됩니다.
당연히 높을수록 좋습니다.
(2) PCI Express :
가장 빠른 확장 인터페이스
요즘에는 여기에 그래픽카드를 장작하며 메인보드가 고급일수록 이런 PCI experss 단자가 여러개 존재한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같은 사양의 그래픽카드를 두 개 이상 연결하여 성능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열풍 때 이 기능을 굉장히 많이 사용했다고 합니다.
(3) SLI / CROSSFIE :
같은 사양의 그래픽카드를 두 개 이상 연결할 때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nVIDIA는 SLI 라고 하고 AMD는 corssfire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