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Language33 [python] with python의 with statement를 처음 알고 놀랐다. 굉장히 편하기 때문이다. python에서 파일을 열고 어떤 작업을 해야할 일이 있을 때, 작업이 끝나면 반드시 close 해줘야 한다. 하지만 이걸 자동으로 해주는 것이 with statement이다. with open("test.txt", "w") as file: file.write("add sentences") 원래 open( ) close( ) 둘 다 해야하는데 이렇게 with 를 사용하면 끝나면 자동으로 close( ) 가 된다. process 낭비할 일도 없으니 아주 좋다. 당연히 open( ) 말고도 다른 걸 사용할 수도 있다. 2022. 4. 12. [python] if __name__ == "__main__" java와 비교 나는 java를 주 언어로 프로그래밍 공부를 하는 중인데 최근 python을 사용할 일이 있어서 거의 처음으로 사용했다. 대강 흐름은 비슷하고 오히려 java보다 type 지정 같은 것도 간단해서 편하긴한데, 문법이 조금씩 다른게 있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서론이 너무 길었다. 0. if (java vs python) if __name__=="__main__": 이걸 알아보기 전에 python의 if statement 차이를 집고 넘어가야 한다. if(condition){ expression; } if condition: expression 대강 구성은 비슷하지만, 약간씩 다르다. java는 괄호( ) 안에 condition을 넣고, { } 안에 expression을 적는다. 그리고 각 expressio.. 2022. 4. 12. 자바 버전 변경시 주의 사항 (JAVA_HOME) gradle 프로젝트를 build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했다. 처음에 무슨 문제인지 몰라서 에러 메세지를 보니 ERROR: JAVA_HOME is set to an invalid directory: C:\Program Files\Java\jdk-17.0.2 Please set the JAVA_HOME variable in your environment to match the location of your Java installation. 이런 문구가 적혀있었다. 곰곰히 고민해보니, jdk-17.0.2 라는 숫자가 이상했다. 잊고 있었는데, 원래 jdk 17을 쓰다가 spring legacy 를 실행하는데 안 돼서 jdk 11로 다운그레이드했던 기억이 났다. 이 버전 전환이 문제를 일으켰던 것이다. JA.. 2022. 2. 23. [javascript] 1급 함수 vs 1급 객체 란? 1. '1급 객체' 정의 1급객체의 원어 표현은 "1st class object"이다. 즉, 해당 객체가 1등 시민이고, 어느 곳이든 갈 권리가 있는 객체라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요건은 3가지이다. (1) variable에 담을 수 있다 (2) parameter로 전달할 수 있다 (3) return type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게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1급 시민이 되는 조건이다. 2. javascript의 1급 함수 1급 객체의 개념을 그대로 함수에 적용한 것이 1급 함수이다. (1) parameter에 function 지정 가능 (2) return type이 function 지정 가능 (3) constant(상수)나 variable(변수)에 function을 할당 가능 다만 1급 함수가 되기 위한 몇.. 2022. 1. 31. 이전 1 2 3 4 ···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