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0 [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 > 해시 > 완주하지 못한 선수 문제 설명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participantcompletionreturn ["leo", "kiki",.. 2021. 12. 9. 2. 첫 Spring 프로젝트 생성 - Maven을 이용해서 Spring Project를 생성해보자 (Maven: spring의 build tool 중 하나) 1. 프로젝트 생성 (1) 프로젝트 생성을 위해 우클릭 > others > Maven Project 누르고 파일 생성 (2) next 누른 다음에 Create a simple project (skip archetype selection) 을 체크해주고 Next (3) Group Id는 만약 이 project를 감싸고 있는 큰 프로젝트가 있다면 적는 그룹 이름이고 Artifact Id는 지금 만드는 이 project의 이름 * 추가 : Spring은 여러 modules로 구성되어 있음. 결국 그 module 하나 하나도 project임 따라서 그 module 하나하나가 project이.. 2021. 12. 8. 1. Spring 이란 1. Spring Framework (1) Spring Framework의 주요 기능 : DI, AOP, MVC, JDBC 등 제공해준다 - DI (Dependency Injection) : interface를 사용해서 class 사이의 의존관계를 최소화 재사용성 높임, 테스트 용이, 코드 단순화, 종속적인 코드 수 줄임, 코드 읽기 편해짐, 결합도 낮춤 ex. Constructor에 arguments를 주입함으로써 constructor 안에서 새로 생성하는게 아닌 this.myGas = gas.getGas(); 를 통해서 주소 값으로 불러옴 (getter, setter를 활용) - IoC (Inversion of Control) (Spring에서 Container를 부르는 이름) : '제어의 역전'이라.. 2021. 12. 7. html vs jsp 차이 html과 jsp를 작성하다보면 형식이 똑같다. 그리고 실행시켜보면 그 기능도 겉으로 보기에는 똑같아 보인다. 딱 떠올렸을 때 생각나는 둘의 차이는 jsp에는 를 통해서 java코드 작성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바로 이것이 핵심이다!! html은 browser에 바로 보여진다. html 파일을 browser로 보내고 browser가 html파일을 interpret해서 화면을 띄우는 순서! 반면 jsp는 (1) 먼저 server에 compile된 후 (2) html형식으로 browser에 response된다. (3) 그러면 browser는 그걸 interpret해서 화면을 띄우는 순서이다. 2021. 11. 29. 이전 1 ··· 16 17 18 19 2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