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Web/Spring14 [Gradle] 1. spring boot 프로젝트 만들기 0. maven 에서 gradle 로 전환 지금까지 작성한 글은 maven 으로 웹 프로젝트를 만드는 방법을 다뤄보았다. 하지만 아무리 봐도 maven 보다 gradle 을 먼저 다루는 것이 맞다고 생각이 든다. 신규 프로젝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maven과 이젠 지원하지도 않는 spring legacy 를 이요해서 만드는 프로젝트보다는 앞으로 계속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spring boot와 gradle로 공부해 나가는 것이 훨씬 옳은 방향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maven 에 대한 이해도 충분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미 만들어진 국내 프로젝트들은 maven이 많기 때문에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더라도 충분히 알아야 한다. 하지만 공부 순서는 뒤집어야 할 것이다. spring boot와 gradle.. 2022. 2. 22. 7. [스프링] Bean 과 Singleton(싱글톤)의 관계 1. Bean 과 Singleton 의 관계 지금까지의 글을 통해 우리는 이제 Bean이 spring container 안에 생성된 object를 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에서 에 적어둔 내용을 바탕으로 id 이름, 즉 변수명을 정하고, 어떤 class의 instance인지 정해서 bean object를 만든다. 그리고 필요하면 java file에서 getBean() method를 통해 객체를 참조(ref)해서 가져온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바로 "참조"했다는 점이다. spring에서는 어떤 java 파일에서 getBean( ) 하든 똑같은 bean을 참조(ref)해서 가져온다. 왜냐하면 bean은 singleton (싱글톤)으로 생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2022. 2. 2. 6. 스프링 설정 파일 (applicationContext.xml) 분리해서 관리하기 0. 왜 applicationContext.xml 을 나누어야 하나? 이전까지 우리는 spring에서는 new 를 통해 instance(object)를 생성하는게 아니라 applicationContext.xml을 통해 container에 bean이라는 object를 생성하고 그걸 필요할 때 getBean() method로 불러와서 사용한다는 것까지 배웠다. 그러면 하지만 이러면 어느 순간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classpath:applicationContext.xml") 을 통해 container (IoC)에 beans가 생성된다. 그리고 필요할 때 꺼내오는 방식이다. 하지만 모든 객체를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에 적.. 2022. 2. 2. 5. DI (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이란? 1. DI (의존성 주입) 이란? DI가 무엇인지 설명하기 앞서 한 가지는 확실히 하고 가야 한다. DI는 spring만의 특별한 방식은 아니다. 프로그래밍을 하는 여러 기법들 중에서 DI라는 것이 존재하는데, 그 DI를 spring에서 채택한 것이다. 사실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오히려 굉장히 친숙한 개념이다. 아래 java code를 보자. class A{ private B a; public A(B a) { this.a = a; } public setA(B a) { this.a = a; } } A라는 class가 가지고 있는 field a에 값을 주입(injection)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하나는 constructor의 p.. 2022. 2. 2. 이전 1 2 3 4 다음 728x90 반응형